췌장암
췌장암(Pancreatic cancer)은 췌장에 암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췌장은 소화 효소를 분비하는 역할을 하며, 인체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췌장암은 초기에는 증상이 없거나 미미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종종 발견하기 어려운 악성 종양 중 하나입니다. 췌장암은 대개 조기 발견이 어렵고 빈번하게 전이가 되어 있을 때 발견됩니다. 따라서, 췌장암은 발견되었을 때 이미 진행된 단계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치료가 어렵고 생존율이 낮은 암종 중 하나입니다. 췌장은 이자에 생긴 암. 췌암이나 이자암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교모세포종과 함께 암 중에서도 최악의 암이라고 불리며 세계적으로 유명한 암 중 하나이고 대한민국에서도 발생빈도 9위에 드는 암입니다. 테너 루치아노 파바로티, 배우 알란 릭맨, 대한민국의 전 축구선수 유상철, 배우 김영애, 전 메이저리그 투수 밥 깁슨, 전 미국 연방대법관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패션 디자이너 칼 라거펠트, 수학자겸 물리학자 존 폰 노이만이 이 암으로 인해 사망했습니다. 참고로 애플의 CEO였던 스티브 잡스를 죽음으로 몰아간 암은 췌장암이 아니라 희귀 암의 일종인 신경내분비종양(NET)입니다. 단지 발생 부위가 췌장부위였을 뿐입니다. 신경내분비종양은 느린 속도로 진행하며, 5년 생존율은 75%. 췌장암과는 다릅니다. 그러나 대체 의학에 매달리다가 치료 시기를 놓쳐 암이 췌장으로 전이되었고, 사망하였습니다. 췌장은 소화효소와 담즙을 생성하며, 소화효소는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췌장암이 발생하면 췌장에서 분비되는 소화효소나 담즙의 분비가 방해되기 때문에 소변과 대변의 색이 변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췌장암으로 인한 소변과 대변의 색깔 변화는 소변: 췌장암으로 인해 소화효소의 분비가 감소하면서 소변이 어둡게 변할 수 있습니다. 만약 소변이 어둡거나 갈색으로 변하면서 항상 그런 것이 아니라 갑자기 변한 경우, 췌장암의 가능성이 있으니 의료진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변: 대변의 색깔은 담즙의 색깔에 따라 결정됩니다. 췌장암으로 인해 담즙 분비가 감소하면서 대변이 회색빛을 띌 수 있습니다. 또한, 대변이 지방질로 가득 차면서 유전적으로 지질대사장애가 있는 경우 스테아토병이라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만약 소변이 어둡거나 대변이 회색빛을 띄거나 변한 경우, 췌장암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의료진과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원인
발병 원인은 명확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과 같은 위험 요소들이 알려져 있습니다.
- 연령: 췌장암은 연령이 들수록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 성별: 남성의 경우 여성보다 더 높은 발생률을 보입니다.
- 유전: 췌장암은 유전적인 요인도 작용할 수 있습니다. 가족 중 췌장암 환자가 있을 경우 개인의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흡연: 췌장암은 흡연이 가장 큰 위험 요소 중 하나입니다. 담배 연기에 포함된 화학 물질은 췌장세포를 손상시키고 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비만: 비만은 췌장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 당뇨병: 장기간 당뇨병을 앓는 사람들은 췌장암 발생 위험이 더 높습니다.
- 만성 췌장염: 만성 췌장염은 췌장에 손상을 입히고 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약물 남용: 일부 약물이 췌장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환경 요인: 일부 환경 요인, 예를 들어 산업적으로 유해한 화학 물질, 방사선 노출 등도 췌장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기타 요인: 기타 요인으로는 고지방 식이, 알코올 섭취, 간염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요인들이 직접적으로 췌장암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며, 다른 위험 요소들과 결합되어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그래도 젊은 층에서는 암 발병 확률이 낮으므로 평소에 몸관리에 신경을 쓰면 좋겠습니다. 췌장은 이자라고도 하는데 이곳은 음식물이 십이지장을 통과할 때 소화 효소와 이자액을 분비하여 혈당을 낮춰주는 인슐린, 반대로 혈당을 올려주는 글루카곤 등 호르몬을 분비하는 역할을 합니다. 위치는 위의 아래쪽 쓸개의 옆에 붙어있는데 '등' 쪽에 있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의학적으로 말하자면 후복막(Retroperitoneum) 공간에 있습니다. 췌장암의 대부분은 췌액을 운반하는 췌관에서 발생합니다. 췌관에서 발생하는 선암(Ductal adenocarcinoma)이 가장 흔한 형태로 90% 정도를 차지하며, 흔히 사망률이 높다고 알려진 암이 바로 이 종류의 암입니다. 췌관 선암은 주위조직과 장기를 자주 침범합니다. 췌관 선암이 발생하는 기전은 췌관의 이형성 (Pancreatic intraepithelial neoplasia, PanIN)에서 기원한 경우가 가장 통상적인 경우이며, 일부는 췌관 내 유두상 점액종양(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 IPMN)에서 진행되어 암으로 가기도 합니다. 다만 후자의 경우 엄밀하게는 최종진단이 '췌관 내 유두상 점액종양 관련 침습암' 정도가 됩니다.
종류
췌장암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대부분은 췌장에서 발생하는 상피세포암종(Epithelial pancreatic cancer)이라고 하는 하나의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이 종류의 암은 종종 전이되기 쉽기 때문에 치료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상피세포암종은 몇 가지 하위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덕분세포암종(Ductal adenocarcinoma) : 췌장에서 가장 흔한 종류로, 90% 이상의 췌장암이 이에 해당됩니다. 후행세포암종(Adenosquamous carcinoma) : 덕분세포암종의 일부 기능을 가진 암종입니다. 경부세포암종(Squamous cell carcinoma) : 희귀한 종류로, 피부암에서 발견되는 세포 유형과 유사합니다. 췌장내분비종(Pancreatic neuroendocrine tumor) : 췌장에서 발생하는 드문 종양으로, 종양의 세포 유형이 내분비(호르몬 분비) 세포에 해당됩니다. 이 외에도 췌장암은 기능적 유무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췌장 기능이 살아있는 경우에는 기능종양(Functional tumor)이라고 하고, 췌장 기능이 손상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기능종양(Non-functional tumor)이라고 합니다. 기능종양에는 글루카곤종(Glucagonoma), 인슐린종(Insulinoma), 가스트린종(Gastrinoma) 등이 있습니다.
증상 및 진단
췌장암은 초기에는 증상이 없을 수 있으며,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이미 진행이 빠른 경우가 많아서 조기 발견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췌장암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복부 통증: 췌장암은 복부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통증은 복부 중앙부에서 시작하여 등 쪽으로 퍼질 수 있습니다.
- 소화 불량: 췌장암은 소화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소화 불량 증상으로는 구토, 메스꺼움, 복부팽만감, 소화불량 등이 있습니다.
- 체중 감소: 체중 감소는 췌장암의 일반적인 증상 중 하나입니다. 췌장암은 식욕을 저하시키고, 식사 후의 소화기 불편감으로 인해 식사량이 감소될 수 있습니다.
- 누더기 증상: 췌장암은 복부에 누더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는 복부에 붉은 반점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 황달: 췌장암은 담도를 막을 수 있으며, 이는 황달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황달은 눈과 피부가 노랗게 변하고, 소변이 어둡고 대변이 연하게 나타납니다.
- 혈액 내 암표지자의 상승: 췌장암의 증상 중 하나로서, 혈액 내 암표지자 수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있을 경우, 가능한 한 빨리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췌장암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검사 방법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일부는 췌장암의 조기 발견에 매우 유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췌장암 검사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혈액검사: 혈액 검사는 암표지자의 수치를 파악하여 췌장암을 진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검사는 혈액 내의 특정 단백질인 CA 19-9의 수치를 측정하는 것으로, 췌장암의 진단을 위한 중요한 지표입니다.
- 초음파 검사: 췌장암 진단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검사 중 하나입니다. 초음파 검사는 췌장의 크기와 형태를 파악하여 비정상적인 세포 생장이나 종양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T 검사: CT 검사는 췌장을 3차원적으로 보여주는 X선 기술로, 췌장암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CT 검사는 조영제를 사용하여 복부 내부를 상세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 MRI 검사: MRI 검사는 췌장을 자세히 보는 데 사용되며, 혈관과 림프관, 인접 조직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내시경 검사: 내시경 검사는 췌장암세포를 직접 채취하여 조직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내시경 검사는 췌장 종양의 크기, 위치, 종류 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위 검사 방법 중 일부 또는 모두를 결합하여 진단을 확실하게 할 수 있습니다. 조기 발견과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췌장암 검사를 꾸준히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료 및 수술 가능성
췌장암의 치료 방법은 종양의 위치, 크기, 확산 정도, 환자의 건강 상태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췌장암의 치료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 수술: 수술은 췌장암의 조기 발견 시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입니다. 수술을 통해 종양을 제거하고, 암이 다른 부위로 확산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 화학요법: 화학요법은 항암제를 사용하여 암세포를 파괴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주로 수술 후 암세포를 제거하거나 수술 전에 암 조직을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 방사선요법: 방사선요법은 X선, 감마선 등을 사용하여 종양을 파괴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주로 화학요법과 함께 사용되며, 수술 전이나 후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 면역요법: 면역요법은 환자의 면역 시스템을 활성화하여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치료 방법입니다.
최근 연구에서 췌장암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종양의 위치와 크기, 암의 확산 정도, 환자의 건강 상태 등에 따라 위 치료 방법을 조합하여 적절한 치료 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조기 발견과 치료의 시작으로, 조기 발견과 치료로 인해 생존율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췌장암의 수술 가능성은 종양의 위치, 크기, 확산 정도 등에 따라 다며, 전체적으로 췌장암의 수술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입니다. 그러나 조기 발견된 경우에는 수술이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 종양의 위치: 췌장암 종양의 위치는 수술 가능성을 크게 좌우합니다. 종양이 췌장의 근처에 있는 경우 수술 가능성이 높아지지만, 종양이 미세한 혈관에 가까이 있거나 동맥이나 정맥과 같은 중요한 구조물을 둘러싸고 있는 경우 수술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 종양의 크기: 종양의 크기가 작을수록 수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일반적으로 종양이 2cm 이하인 경우 수술이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 암의 확산 정도: 췌장암이 다른 부위로 확산되지 않은 초기 단계에서 발견된 경우 수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환자의 건강 상태: 수술은 전반적으로 심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복잡하고 위험한 절차이므로, 환자의 건강 상태가 수술 가능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주변에서 완치라는 용어를 하도 남발해 대서 익숙할지 모르지만 학문적으로는 정말 달성하기 어렵습니다. 안타깝게도, 워낙 발견이 늦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대개 전체 환자의 12.5%밖에 수술 가능한 환자가 없는 실정입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일찍 발견되는 머리 쪽 췌장암일수록 수술가능성이 좀 더 높습니다. 하지만 전이가 잘 되는 특성상 수술에 성공해도 5년 생존율이 10%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의학이 이만큼이나 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정도밖에 생존율이 안 나오는 암도 참 드뭅니다. 요즘은 위 유문(위의 음식 출구)을 보존하는 유문보존췌십이지장절제술(PPPD)이 많이 늘었습니다. 수술이 끝나면 항암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수술 가능하든 가능하지 않든 보통 통증 조절을 강력하게 해주는 편입니다. 종양의 위치, 크기, 확산 정도 등을 고려하여 종양을 제거하거나 주변 조직을 제거하는 수술이 수행될 수 있습니다. 수술은 종양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으로, 종양을 제거하면 암이 재발할 가능성이 낮아지며 생존율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번 걸리면 평생 재발 한다는 통풍! (0) | 2023.04.21 |
---|---|
죽을 만큼 아픈데 꾀병이라니.. (1) | 2023.04.20 |
갑자기 찌릿! 허리통증의 신호.. (2) | 2023.04.19 |
목이 아파 감기인 줄 알았는데... (0) | 2023.04.18 |
위험한 "전립선 신호" (0) | 2023.04.18 |
댓글